안녕하세요! 정보호수 김브입니다.
오늘은 게임시장의 구조와 한국게임의 수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.
1. 세계 게임시장의 규모
- 세계 게임시장의 규모는 1081억 1300만 달러였음(현재는 더 높을것으로 추정하고있습니다.)
가장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플랫폼은 비디오게임이며(약 45%), 우리나라의 주력 상품인 온라인게임의 비중은 약20% 수준입니다.
-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은 높은 성장률(각각 27%, 14%)을 보인 반면, 아케이드게임, 비디오 게임은 저조한 성장률(각각 2.9%, 0.8%)을 기록하였고, PC게임은 하락세(-8.5%)를 보이고 있습니다.
- 국가별 게임시장 규모를 보면 10개 국가가 세계 게임시장의 78.8%를 구성하고 있고, 미국과 일본이 세계
시장의 3분의 1 이상(37.4%)을 차지하는 등 높은 집중도를 보이고 있으며, 대한민국은 약 6% 규모를 차지하며 6위정도를 하고있습니다.
2. 세계시장의 플랫폼별 전망
- 세계시장은 중장기적으로 볼 때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이 비중을 확대해 가는 가운데, 비디오게임과 아케
이드게임, PC게임은 점진적으로 시장을 축소해가는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.
* 비디오게임시장은 향후 3년간 소폭으로 하락 성장함으로써 2011년에는 44.7%를 차지하던 세계시장 점유율을
2014년에는 40.7%까지 축소할 전망
*온라인게임은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게임 플랫폼으로 2011년 세계 온라인 게임시장은 전년 대비 27.5% 성장하였음. 지속적인 성장으로 시장 비중을 현재의 19.3%에서 30.3%까지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.
* 모바일 게임시장은 전년 대비 14.3% 성장하여 세계시장에서 9.1%의 점유율을 보였음. 향후에도 연평균 12.3%로 성장해 2014년에는 세계시장 점유율을 11.7%까지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.
* 아케이드 게임시장은 향후 3년간 연평균 –7.0%로 하락하여 2014년에는 2011년(24.0%)보다 현저하게
게임시장 내에서의 비중(17.7%)을 축소할 전망입니다.
* PC게임의 입지는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양상으로 2014년에는 2011년(2.9%)보다도 낮은 점유
율(2.5%)을 보일 전망입니다. 지속적으로 모바일과 온라인게임으로 축소할것입니다.
3. 결론 및 시사점
- 적극적 수출 전략 마련 필요
우리나라 게임 수출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서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온라인게임에 집중하던 수출 방식을 벗
어나 플랫폼을 다각화하고 세계 게임시장의 권역별, 국가별 특성을 감안하여 가치시장과 규모시장을 창출하
기 위한 적극적인 수출 전략 수립이 필요할것이다.
- 수출 플랫폼의 다각화
온라인게임 위주의 수출 구조에서 수출 플랫폼을 다각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보임
스팀과 같은 세계 비디오게임 시장에 도전하기위한 멀티플랫폼을 개발하는것도 시급하다.
단순히 찍어내는 수준의 게임이 아닌 다양하고 K-게임을 세계화 할 수 있는 플랫폼개발이 가장 최우선이 되어야할 것이다.
댓글